반응형
에너지 캐시백은 한국전력공사(한전)에서 주관하는 에너지 절약 장려 제도입니다. 가정에서 전기를 절약하면 절약한 만큼 현금이나 전기요금 차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인데요. 2022년부터 시행되어 전기요금 부담을 줄이고 에너지 절약 문화를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.
▶▶ 에너지 캐시백의 주요 내용 ◀◀
1. 목적
에너지 캐시백은 자발적인 에너지 소비 절약을 유도하고,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가정의 부담을 줄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. 환경 보호와 경제적 이득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죠.
2. 참여 대상
주택용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가구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아파트에 거주하는 고객도 세대별로 신청이 가능하며, 해당 주소지에 주민등록이 된 구성원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상업용이나 창고, 통신중계기 등 주거용이 아닌 장소는 신청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3. 신청 방법
에너지 캐시백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온라인 신청: '한전 에너지캐시백'을 검색하거나, 한전 고객센터(☎123)로 문의하여 신청 경로 문자를 받은 후 한국전력공사 에너지캐시백 누리집(en-ter.co.kr/ec/main/main.do)에 접속하여 신청합니다. 휴대폰 본인인증 등 간단한 절차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.
- 오프라인 신청: 한전 지사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.
4. 지급 기준 및 방식
캐시백은 과거 사용량 대비 절감률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- 절감량 산정: 직전 2년 동안의 동일 기간 월별 평균 전기 사용량과 현재 절감 활동 기간의 실제 사용량을 비교하여 절감량을 계산합니다.
- 지급 단가: 절감률이 높아질수록 1kWh당 지급되는 캐시백 금액이 늘어납니다. 2024년 1월분부터는 절감률 3% 이상 5% 미만은 kWh당 30원, 5% 이상 10% 미만은 60원, 10% 이상 20% 미만은 80원, 20% 이상 30% 이하는 100원이 지급됩니다 (최대 30% 한도).
- 지급 방식: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 달 전기요금 청구 시 차감되어 반영되거나, 현금으로 지급(한전과 계좌이체 약정 필요) 또는 기부(사회복지공동모금회)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▶ 여름철 에너지 절약 팁 ◀
특히 여름이나 겨울처럼 에너지 사용이 집중되는 시기에는 캐시백 금액이 늘어날 수 있으니, 이 시기를 잘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에어컨 설정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거나 불필요한 전등을 끄는 등 일상생활 속에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.
에너지 캐시백은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는 좋은 제도이니, 적극적으로 참여해보시는 건 어떨까요?
반응형
댓글